통합에 대한 구체적인 실체 없어... '지금부터라도 자생력 마련해 시민 공감하는 도시 만드는게 우선' 목소리

"민간주도형?"... 구체적 실체는 시민들도 '몰라'
공감대 형성은 여전히 없어
자생력 없인 '통합'은 불가능

 

어느 순간 강원 동해시와 삼척시가 인구 감소 등으로 '소멸위기'라는 단어가 나오면서 '동해.삼척 통합'이라는 주제가 수면위로 올라왔다.

인구 9만여 명인 동해시와 인구 6만5천여 명의 삼척시가 통합을 해야 경제적으로 상생발전 할 수 있다는 내용이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내용은 나온 것은 없다.

어느 연구 용역에 의하면, 동해시와 삼척시가 통합할 경우 인구 16만여 명에 재정규모는 1조원이라고 보고됐고, 이런 용역 결과로 지역주민의 삶이질이 보장되고 명실상부한 강원남부권 거점도시로 재도약 할 수 있다는 것이 '동해.삼척 통합'의 골자다.

하지만, 민간주도형이든 아니든 동해.삼척 시민들은 통합에 대한 큰 기대는 보이지 않고 있다.

정가의 한 관계자는 "솔직히 동해.삼척 통합을 민간주도형으로 하든 시민들은 현재 지역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조차 모르고 산다"며 "코로나 19 장기화로 점점 상경기가 쇄락하고, 관광객들도 멈칫하는 현재의 상황을 볼 때 동해와 삼척의 통합이 시기적으로 적절한지 의문이 생긴다"고 말했다.

이어 "용역 결과 하나만 놓고 16만여 명의 시민들이 이끌려다니다 차기 선거 후 자치단체장이 바뀐 상황이 나타났을 때 그들의 추진 의향에 따라서도 동해.삼척 통합은 유명무실해 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동해.삼척 통합에 대해 '민간주도형'이라는 말이 여러번 나왔지만, 어떤 조직과 인물이 '민간주도형'이라는 구체적인 실체는 나오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동해.삼척 통합'의 주체가 누구인지 의문을 내놓고 있다.

또, 최근 동해시가 내놓은 '동해.삼척 통합' 용역결과에 대해 김양호 삼척시장이 불만을 표출한 것이 언론 방송을 통해 보도되면서 '소멸위기' 이전에 '지역간 다툼'으로 번질 수 있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지수 2019 및 국가의 대응전략' 보고서를 보면 '동해시와 삼척시 등 전국 지자체 중 97곳이 인구 감소 등으로 사라질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어느곳이든 두 지자체의 통합은 모든 시민이 공감하고, 지자체장이나 시의원, 사회단체 등 공감대가 형성돼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동해.삼척 통합은 여기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정가의 한 관계자는 "통합 이전에 두 도시가 자생력을 충분히 갖추고, 현재로써는 코로나 19 상황이 진정될 때 논의할 일이다"며 "섣부른 통합 보다는 코로나 19 장기화로 모든 상경기가 쇠락해 가고 있고, 이에 시민들은 어느 곳에도 하소연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각 지자체가 자생력을 완벽히 구축하는 시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강원지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